본문 바로가기

(BP-035) 자전거 사고 Fact Sheet 본문

Bike Porn

(BP-035) 자전거 사고 Fact Sheet

사랑하는엄마 2020. 6. 3. 16:25

웃지 못할 자전거 사고,

 

이번 시간에는 자전거 사고 통계를 공유하고자 합니다.

 

자전거 문화가 활성화 되면서 자전거 사고도 또한 많아 질 것 같다고 생각하지만,

 

자전거 사고 발생건수는 감소추세입니다.

 

그러나 자전거 사고 사망자 비율은 증가하고 있습니다.

 

개인의견으로는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을때 사건 사고가 좀 더 많았지만,

 

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서 달리기가 좋아지니 저희같은 사람들이(로드, 엠티비)

 

좀 더 빨리, 좀 더 위험하게 달려서 오히려 사망사고가 더 발생한게 아닌가 억측을 해봅니다.

 

 

 

가장 자전거 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날은 9월, 6월, 5월 순으로 가장 많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

 

그 중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 생하는 월은 9월 입니다.

 

 

자전거는 차로 분류되기 때문에 차대차사고가 90.8%로 자전거 교통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.

 

그 중 측면 충돌이 약 50%를 차지합니다. 

 

차대 사람 사고에서는 횡단중일때 2.7%로 기타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사고가 납니다.

 

자전거로 무단횡단 하다가 사고가 많이 난다는 거죠.

 

 

 

그런데 자전거 사고가 나는 사람들은 보통 누구일까요.

 

피해운전자의 경우 65세 이상이 약 26% 가장 많았으나, 이는 연령폭이 너무 크게 잡혔고,

 

65세 이상 고령을 제외하고는 51~60세, 13~20세가 가장 사고가 많습니다.

 

자전거로 가해를 한 가해운전자의 경우도 동일합니다.

 

51~60세, 13~20세에 해당하시는 분들, 좀 더 특별히 안전라이딩 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.

 

 

 

법규위반별 자전거 교통사고는 안전운전의무불이행(약 65%), 그 다음 중앙선침범(약9.5%), 신호위반(7.1%)로 높습니다.

 

 

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 자전거 사고는 4~6시 금요일과 토요일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. 

 

자전거 사망자수 중 헬멧 미착용율은 88.8%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오늘도 안라하는 저희가 됩시다.

 

 

 

 

 

자료출처: 행정안전부 2018년 자전거 이용현황

             도로교통곤단 최근 5년간 자전거 사고 특성분석 결과발표.

 

 

(도로교통공단의 자료와 행정안전부의 통계가 같은내용이라도 소폭 다릅니다.)